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||||||
2 | 3 | 4 | 5 | 6 | 7 | 8 |
9 | 10 | 11 | 12 | 13 | 14 | 15 |
16 | 17 | 18 | 19 | 20 | 21 | 22 |
23 | 24 | 25 | 26 | 27 | 28 |
- Codebuild
- grafana
- Codedeploy
- aws-dop
- ingress controller
- emptyDir Volume
- ingress
- Persistent Volume Claim
- SSL Offload
- alertmanager
- k8s
- HTTPS Redirect
- cicd
- kubernetes
- Persistent Volume
- volume
- Codepipeline
- NFS Client Privisioner
- emptyDir
- Naver cloud platform
- ncp
- codecommit
- Prometheus
- AWS
- node exporter
- pod
- DevOps
- RKE2
- ALB
- slack
- Today
- Total
Cloud SA's This and That
[KT-Cloud] Server > Volume & Snapshot 본문
KT-Cloud에서 추가 스토지리를 생성하여 서버에 연결 후 마운트 테스트 및 용량 확장 테스트를 해보았다.
또한 스냅샷(추가스토리지)을 생성하여 사용해보았다.
중간중간 이슈가 있어서 해당 사항들 참고하면 좋을 것 같다.
[Volume]
1. 볼륨 생성
> 볼륨 생성 시 단일 볼륨 최대 용량은 2000GB이다. (KT측에 따로 문의해도 용량 증설은 안된다고 한다. -> 2000GB 이상 필요하면 LVM 사용해야함)
2. 볼륨 연결 ( 라이브상태에서만 가능 )
>볼륨 상태 : 사용
3. Server 메뉴에서 Volume 관리
4. Volume 사용
> 리눅스 서버의 경우 추가될 volume은 파티션 과정을 거쳐야 함
1) Non-LVM
[과정] fdisk -> mkfs.xfs -> mount -> fstab
> 파티션 진행
> 포맷 진행
<참고> - 스토리지 포맷
CentOS 5.x : mkfs.ext3
CentOS 6.x : mkfs.ext4
CentOS 7.x : mkfs.xfs
Ubuntu Server / Desktop : mkfs.ext4
암호화된 디스크인 경우 : mkfs.xfs
> 기존 centos에서 기본 지원되는 파일시스템인 ext와 달리 xfs가 기본 파일 시스템으로 채택됨
> xfs 파일시스템은 64bit 환경에 최적화 되어 있음
> xfs_growfs 유틸을 통해 마운트된 상태에서도 파일시스템 확장이 가능
> 마운트 진행
>/etc/fstab 등록 (재부팅시 마운트 에러 안나도록)
Q. 볼륨 크기 변경 시? -> 확장만 가능
>서버와 연결이 되어있는 상태에서는 사이즈 변경(확장)이 불가하다.
-> umount 후 확인 (/dev/vdb1 umount 확인됨)
-> [Server->Volume]에서 해당 볼륨 연결해제(라이브 상태에서만 가능) 후 20GB로 크기변경 후 다시 연결
-> 서버 접속 후 확인해보니 처음 연결했던 10GB는 자동으로 마운트되어있음
-> 해당 디스크에 데이터 유지 확인됨
-> 디스크 확장
-> 다시 디스크 내 데이터 확인
Q. 그럼 서버에서 마운트되어있는 상태에서 콘솔 통한 연결 해제를 하게 되면?
> 마운트되어있는 상태에서 콘솔 통해 연결해제 해버리면 데이터 날라가고 에러 발생
* 추가로 추가디스크 연결해제 하지않은 상태에서 서버 삭제하면 해당 디스크는 계속 Reserve 상태로 남아서 삭제나 연결이 되지 않는다.(kt측에 직접 삭제 요청해야 함)
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
[volume snapshot]
> 서버의 Root volume은 서버이미지 생성 시 복제가 함께되며 추가디스크를 스냅샷으로 복제가 가능하다.
> 스냅샷을 통한 볼륨 생성
> 해당 볼륨을 서버에 연결시킨다.
> 볼륨 연결한 서버 접속 후 마운트
> 마운트 후 데이터 확인 가능
* 스냅샷을 뜨면 하면 해당 볼륨은 콘솔에서 삭제가 불가능함
'KT-Cloud' 카테고리의 다른 글
DBaas For MySQL8 (1) | 2024.01.04 |
---|---|
[KT-Cloud] Tibero DB 설치 (+ 볼륨 주의사항) (0) | 2023.07.21 |
[KT-Cloud] 시스템 환경 (0) | 2023.07.21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