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||||||
2 | 3 | 4 | 5 | 6 | 7 | 8 |
9 | 10 | 11 | 12 | 13 | 14 | 15 |
16 | 17 | 18 | 19 | 20 | 21 | 22 |
23 | 24 | 25 | 26 | 27 | 28 |
- HTTPS Redirect
- Persistent Volume Claim
- DevOps
- cicd
- ingress controller
- AWS
- Codepipeline
- ingress
- slack
- codecommit
- Naver cloud platform
- node exporter
- kubernetes
- grafana
- ncp
- Persistent Volume
- SSL Offload
- Prometheus
- Codedeploy
- ALB
- emptyDir
- alertmanager
- Codebuild
- NFS Client Privisioner
- pod
- volume
- aws-dop
- emptyDir Volume
- RKE2
- k8s
- Today
- Total
목록volume (2)
Cloud SA's This and That
파드에서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이 디스크에 데이터를 유지해야 하고 파드가 다른 노드로 재스케줄링된 경우에도 동일한 데이터를 사용해야 한다면 이전에 언급한 볼륨의 유형 중 emptyDir이나 hostPath 등은 사용할 수 없다.(참고 : https://jyyoon94.tistory.com/16) 그렇다면 해당 데이터들은 NAS 유형에 저장되어야 하는데 테스트 전 PersistentVolume과 PersistentVolumeClaim에 대해 간단히 알아보도록 한다. PersistentVolume(PV) & PersistentVolumeClaim(PVC) 퍼시스턴트 볼륨은 파드 개발자가 실제 네트워크 스토리지 인프라에 관한 지식을 갖추고 있어야 한다.(NFS 기반의 볼륨을 생성하려면 개발자는 NFS 익스포트..
테스트 전 간단하게 쿠버네티스의 볼륨에 대해 정리하자면, 파드 내부의 각 컨테이너는 고유하게 분리된 파일시스템을 가진다. 새로 시작한 컨테이너는 이전에 실행했던 컨테이너에 쓰여진 파일시스템을 접근할 수 없다.(같은 파드에 실행된다고 해도 마찬가지) 하지만 새로운 컨테이너가 이전에 종료된 위치에서 계속되기를 원한다면 (실제 데이터를 가진 디렉터리를 보존하고 싶을 수도 있다.) 쿠버네티스는 스토리지 볼륨을 정의하는 방법으로 해당 기능을 제공한다. [볼륨 소개] - 쿠버네티스 볼륨은 파드의 구성요소로 컨테이너와 동일하게 파드 스펙에서 정의된다. - 볼륨은 독립적인 오브젝트가 아니므로 자체적으로 생성, 삭제될 수 없다. - 볼륨은 파드의 모든 컨테이너에서 사용 가능하지만 접근하려는 컨테이너에서 각각 마운트되어야..